주식용어 13

커버드콜 뜻, 이 단어가 붙은 ETF의 정체는?

요즘 ETF 종목들을 둘러보다 보면 이름 뒤에 ‘커버드콜’이라는 단어가 붙은 상품들을 심심찮게 볼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단순히 배당형인가 싶었지만, 궁금증이 생겨 조금 더 공부해 보게 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커버드콜의 뜻과 이 전략을 쓰는 ETF의 특징을 쉽게 풀어보겠습니다.커버드콜 뜻커버드콜(Covered Call)은 'covered'(덮인, 보유된)와 'call'(콜옵션, 살 수 있는 권리)이 합쳐진 말입니다.covered: 주식을 이미 보유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즉, 팔려는 콜옵션의 대상이 빈 껍데기가 아니라 실제 주식으로 ‘덮여 있다’는 의미입니다.call: 콜옵션, 일정한 가격에 주식을 살 수 있는 권리입니다.결국 커버드콜은 주식을 가진 상태에서 그 주식을 살 수 있는 권리를 시장에 팔아,..

경제지식 2025.07.11

주식 ROC 뜻 어렵지 않게 이해하기

주식 관련 정보를 찾다 보면 ROC라는 약어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 단어가 항상 같은 뜻으로 쓰이진 않습니다.주식 ROC 뜻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사용하는 맥락에 따라 전혀 다른 지표를 의미하게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Rate of Change와 Return on Capital이라는 두 개념을 비교해 보고, 각각이 실제 투자에 어떤 식으로 활용되는지도 살펴보겠습니다.주식 ROC 뜻에는 두 가지 약어가 존재합니다먼저 가장 많이 혼동되는 부분은 ROC가 Rate of Change와 Return on Capital을 동시에 가리킬 수 있다는 점입니다.Rate of Change(변화율): 주가나 지표의 흐름 속도를 측정하는 기술적 분석 지표입니다.Return on Capital(자본 ..

경제지식 2025.07.09

ETF NAV 뜻 및 ETF iNAV 뜻 한 번에 이해하기

ETF에 관심을 갖고 투자를 시작하다 보면 처음 마주하는 용어들이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ETF NAV 뜻과 ETF iNAV 뜻은 꼭 짚고 넘어가야 할 핵심 개념입니다. 삼성자산운용의 KODEX ETF 가이드에서도 강조하듯, 이 두 용어는 ETF 가격 이해의 출발점이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두 가지 개념을 헷갈리지 않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보겠습니다.ETF NAV 뜻: 순자산 가치란?NAV는 Net Asset Value의 약자로, 우리말로는 ‘순자산 가치’를 뜻합니다. 쉽게 말해 ETF가 실제로 보유하고 있는 자산의 가치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을 기준으로 한 1좌당 가격입니다.매일 장 마감 이후에 계산됩니다.ETF가 보유한 주식, 채권, 현금 등의 자산 가치를 모두 합산한 뒤, 운용보수 같은 비..

경제지식 2025.07.07

주식 상방 뜻 어떻게 이해하면 좋을까?

주식 초보자라면 처음 접하게 되는 용어 중 하나가 주식 상방 뜻입니다. 이 글에서는 ‘상방’이라는 표현이 주식 시장에서 어떤 의미로 사용되는지, 어떤 맥락에서 쓰이는지, 실제 예문을 통해 어떻게 해석하면 좋을지를 다루겠습니다. 특히 주식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한자어 풀이를 곁들여 쉽게 설명하겠습니다.상방이라는 단어, 무슨 뜻인가요?‘상방’은 주식 시장에서 자주 등장하는 표현입니다. 본래는 한자어로,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상(上): 위 상. 위쪽, 높다는 의미를 가집니다. 방향적으로 '위로 향하다'는 뜻을 내포합니다.방(方): 방향 방. 특정 방향, 쪽, 경향을 의미합니다.따라서 ‘상방’은 문자 그대로 풀이하면 ‘위쪽 방향’이란 뜻이 됩니다. 주식 시장에서는 이것을 비유적으로 사용하여 주가가..

경제지식 2025.06.15

하방 뜻 종합 정리: 하방압력, 하방경직성, 열린하방, 닫힌 하방 등

최근 뉴스를 보다가 주가나 경제 흐름에 대해 이야기할 때 자주 등장하는 표현 중 하나가 바로 ‘하방’이라는 단어였습니다. 개인적으로 투자 공부를 하던 중 여러 경제 기사와 분석 글을 접하면서 이 단어의 의미가 궁금해졌고, 관련 내용을 조금 더 정리해두면 다른 분들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아 블로그 포스팅으로 남겨봅니다. 글에서는 하방 뜻을 중심으로 관련 개념들을 간단하게 정리하고, 이해를 돕는 방식으로 설명해보려 합니다.하방 뜻 이해하기하방이라는 표현은 주식, 금리, 부동산 등 경제 영역에서 자주 사용되는 단어입니다. 일반적으로 ‘아래쪽 방향’이나 ‘내려가는 쪽’을 의미하는 말이지만, 경제에서는 조금 더 구체적인 의미로 사용됩니다.하방 뜻은 어떤 수치나 지표,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 또는 방향을 나..

경제지식 2025.06.13

펀더멘탈 뜻, 주식 투자에 꼭 필요한 기본 개념

주식이나 경제 관련 콘텐츠를 보다 보면 펀더멘탈이라는 단어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 펀더멘탈 뜻은 단순한 용어를 넘어, 기업이나 경제 전반의 내실을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입니다. 이 글에서는 펀더멘탈의 기본적인 의미부터 주식 투자에서의 활용, 그리고 예시를 통해 어떻게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는지를 차근차근 설명드리겠습니다.펀더멘탈, 경제의 기초를 뜻하는 개념펀더멘탈(Fundamental)은 영어로 ‘기본적인’, ‘근본적인’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경제학에서는 나라의 경제 상태를 평가할 때, 주식에서는 기업의 기초 체력을 판단할 때 이 용어를 사용합니다.예를 들어 한 나라의 펀더멘탈이 튼튼하다는 말은, 그 나라의 성장 가능성, 고용률, 물가 안정성, 외환 보유고 등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경제지식 2025.05.16

주식 경제 용어 모멘텀 뜻 쉽게 이해하기

주식이나 경제 뉴스를 접하다 보면 자주 등장하는 단어 중 하나가 모멘텀입니다. 모멘텀 뜻은 주로 주가의 흐름이나 투자 트렌드와 관련하여 사용되지만, 본래는 물리학에서 시작된 개념입니다. 이 글에서는 모멘텀의 원래 의미부터 주식 시장에서의 활용, 그리고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까지 단계적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물리학에서 유래한 모멘텀의 개념모멘텀은 원래 물리학 용어입니다. 물체가 가진 운동의 양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질량과 속도의 곱으로 정의됩니다. 즉, 무거운 물체가 빠르게 움직일수록 모멘텀은 커지게 됩니다. 이러한 개념은 물리학에서 충돌이나 힘의 전달을 설명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이러한 물리학적 개념은 나중에 주식이나 경제 분야로 확장되었고, 추세의 지속성과 관련된 지표로 재해석되면서 오늘날 투자 용어로 ..

경제지식 2025.05.16

주식에서 EPS란? 계산법 및 PER과의 관계, 중요성과 한계까지

주식 시장에서 투자 결정을 내릴 때 다양한 재무 지표가 활용됩니다. 그중에서도 EPS란 기업의 수익성을 평가하는 대표적인 지표로 꼽힙니다. EPS를 통해 기업이 한 주당 얼마의 순이익을 창출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으며, 투자자들이 기업 가치를 분석할 때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EPS의 개념과 계산 방법, PER과의 관계, 그리고 EPS의 중요성과 한계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EPS란?EPS란 Earnings Per Share의 약자로, 주당순이익을 의미합니다. 즉, 기업이 한 회계연도 동안 벌어들인 순이익을 발행된 주식 수로 나눈 값입니다. 이를 통해 투자자는 해당 기업이 주식 한 주당 얼마의 이익을 내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EPS의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EPS = (당기순이익 - ..

경제지식 2025.02.19

BPS란 무엇일까? 주식 증권 지표인 주당 순자산가치 이해하기

투자를 처음 시작하면 생소한 용어들이 눈앞에 가득합니다. "PER", "PBR" 같은 용어를 듣고 공부하다 보면 "BPS"라는 단어를 접하게 됩니다. 주당 순자산가치(BPS)는 주식 투자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개념입니다. 하지만 이 용어가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 잘 모른다면 투자 판단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 BPS란 개념이 무엇인지, 높은지 낮은지에 따라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그리고 실제 예시를 통해 쉽게 이해해 보겠습니다. 관련 포스팅PER 이란? 뜻과 해석 방법 예시로 쉽게 이해하기PER 이란? 뜻과 해석 방법 예시로 쉽게 이해하기  주당 순자산가치 BPS란?주당 순자산가치(BPS)는 기업의 순자산을 발행 주식 수로 나눈 값입니다.여기서 순자산이란 기업의 총자산에서 총부채를 제외한 ..

경제지식 2025.01.28

ROE란 무엇일까? 이 수치가 높은회사를 주목하세요

투자를 고려할 때 여러분은 어떤 지표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시나요? 많은 투자자는 PER, PBR 같은 기본적인 수치를 검토하지만, ROE란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이 투자 의사결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기업이 자본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용해 수익을 창출했는지 나타내는 지표가 바로 ROE(Return on Equity)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ROE가 무엇인지, 높은 ROE를 가진 회사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예시를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겠습니다.ROE란?ROE는 기업의 자기자본이익률(Return on Equity)을 뜻합니다. 이는 기업이 보유한 자기자본(주주지분)을 활용하여 얼마만큼의 당기순이익을 창출했는지 나타내는 수치입니다.ROE 계산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예를 들어 ROE가 10%라..

경제지식 2025.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