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지식

증권사 여러 개 양도 소득세, 헷갈리지 않게 이해하기

경제 매뉴얼365 2025. 7. 22. 16:53
반응형

우리 주변에서 주거래 증권사가 아닌 다른 곳의 서비스도 함께 이용 중인 분들을 쉽게 만나볼 수 있습니다. 신규 이벤트 때문에 새로 개설하는 경우도 있고, 묵혀둘 주식과 빠르게 매매할 주식을 분리해서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럴 때 생기는 궁금증을 해결하고자 본 포스팅을 준비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증권사 여러 개 양도 소득세 처리 방식과 기본 개념을 차근차근 정리하겠습니다.

증권사 여러 개 양도 소득세 대표 이미지

주식관련 양도 소득세 쉬운 정리

주식 투자에서 양도 소득세는 투자 상품과 투자 규모에 따라 과세 여부가 달라집니다. 아래 표에서 주요 내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구분 과세 여부 공제 금액 세율
국내 상장주식 대주주만 과세 (10억 이상 보유 시) 250만 원 22~33%
해외 주식 모든 투자자에게 과세 250만 원 22%
비상장 주식 모든 투자자에게 과세 250만 원 10~22%
코인/가상자산 모든 투자자에게 과세 250만 원 22%
 

이처럼 투자 유형과 상황에 따라 적용 방식이 달라지므로, 본인 투자 성격에 맞게 알아둘 필요가 있습니다.

저는 증권사가 여러 개 인데 어떻게 하죠?

여러 증권사 계좌를 가지고 있을 때 가장 중요한 점은 계좌별이 아닌 ‘사람 기준’으로 과세한다는 사실입니다. 즉, A증권사, B증권사, C증권사에서 각각 발생한 양도차익을 모두 합산하여 연간 총 양도차익을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A증권사에서 100만 원, B증권사에서 200만 원, C증권사에서 300만 원 양도차익이 발생했다면 합산 금액은 600만 원입니다. 국내 상장주식의 경우 대주주 요건이 아니면 과세 대상이 아니지만, 해외주식이나 비상장주식은 250만 원 공제 후 나머지 금액에 대해 양도 소득세가 부과됩니다.

따라서 각 증권사에서 연말에 발송하는 거래내역서를 모아 국세청 홈택스에서 직접 합산 신고하거나, 세무 대리인을 통해 신고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면 됩니다.

증권사 여러 개 양도 소득세 간단 정리

증권사 여러 개를 운영하면서 양도 소득세를 신경 쓸 때 핵심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증권사별로 따로 세금을 내는 것이 아니라 본인 명의 전체 합산 금액 기준으로 세금이 부과됩니다.
  • 국내 상장주식은 일반 투자자라면 현재 기준으로 양도 소득세 과세 대상이 아니며, 대주주 요건 충족 시만 해당됩니다.
  • 해외 주식, 비상장주식, 가상자산은 연간 250만 원 공제 후 과세됩니다.
  • 연간 총합으로 계산하므로 각 증권사의 거래내역을 잘 모아야 하고, 5월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에 신고해야 합니다.

마치면서

증권사 여러 개 양도 소득세는 계좌별이 아니라 개인 기준으로 합산 계산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국내 주식, 해외 주식, 비상장 주식, 코인 등 투자 대상별 과세 방식도 다르므로 본인에게 해당하는 규정을 잘 숙지해야 불필요한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앞으로 투자 계획을 세울 때 증권사 여러 개 양도 소득세 규정을 잘 참고하셔서 똑똑한 금융 생활이 되기를 바랍니다.

 

함께하면 좋은 글

총액인건비 제도 뜻과 폐지가 논의되는 이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