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지식

ETF NAV 뜻 및 ETF iNAV 뜻 한 번에 이해하기

경제 매뉴얼365 2025. 7. 7. 20:21
반응형

ETF에 관심을 갖고 투자를 시작하다 보면 처음 마주하는 용어들이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ETF NAV 뜻ETF iNAV 뜻은 꼭 짚고 넘어가야 할 핵심 개념입니다. 삼성자산운용의 KODEX ETF 가이드에서도 강조하듯, 이 두 용어는 ETF 가격 이해의 출발점이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두 가지 개념을 헷갈리지 않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보겠습니다.

ETF NAV 뜻 및 ETF iNAV 뜻 한 번에 이해하기

ETF NAV 뜻: 순자산 가치란?

NAV는 Net Asset Value의 약자로, 우리말로는 ‘순자산 가치’를 뜻합니다. 쉽게 말해 ETF가 실제로 보유하고 있는 자산의 가치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을 기준으로 한 1좌당 가격입니다.

  • 매일 장 마감 이후에 계산됩니다.
  • ETF가 보유한 주식, 채권, 현금 등의 자산 가치를 모두 합산한 뒤, 운용보수 같은 비용을 뺀 순자산총액을 ETF 총 발행 좌수로 나눈 값입니다.

예를 들어 KODEX ETF가 총 3,100만 원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고, 운용보수가 10만 원이라고 하면 순자산총액은 3,090만 원입니다. 발행 좌수가 1만 좌라면, NAV는 3,090원이 됩니다.

즉, ETF의 본질적인 가치를 보여주는 수치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ETF NAV 뜻

ETF iNAV 뜻: 실시간 추정 가치

ETF는 주식처럼 실시간으로 거래되지만, NAV는 장 마감 후에야 계산됩니다. 그렇다면 장중에는 무엇을 기준으로 거래 가격이 정해질까요? 이때 쓰이는 지표가 바로 iNAV입니다.

  • iNAV는 Indicative NAV, 즉 실시간 추정 순자산 가치입니다.
  • 거래소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로, ETF가 보유한 자산의 실시간 가격 변동을 기반으로 계산됩니다.
  • 투자자와 시장 참여자들이 장중에 ETF의 가치가 얼마인지를 가늠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다만 ‘추정’이라는 말이 붙는 이유는, 완전히 정확한 값은 아니라는 점입니다. 일부 자산(예: 외화 표시 자산)의 시세가 실시간으로 반영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ETF iNAV 뜻

NAV와 iNAV, 왜 중요한가요?

ETF 시장에서 실제 거래 가격은 NAV 또는 iNAV와 항상 일치하지는 않습니다. 수요와 공급, 시장 유동성, 거래 타이밍 등에 따라 ETF 가격은 오르내릴 수 있습니다.

이때 iNAV는 거래소에서 매수·매도 호가를 제출하고 거래를 체결하는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투자자가 지나치게 비싼 가격에 사거나, 너무 싼 가격에 팔지 않도록 도와주는 기준점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ETF에 투자할 때는 단순히 현재가만 보지 말고, NAV와 iNAV를 참고해 적정 가격인지를 판단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주식 차트

마무리하며

ETF NAV 뜻은 순자산 가치, iNAV 뜻은 실시간 추정 가치라는 점만 정확히 기억하면 ETF 가격 구조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이 두 개념은 ETF의 내재 가치를 파악하고 합리적인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 기초가 되는 지표입니다.

 

함께하면 좋은 글

ETF란? 뜻과 종류 일반 주식과의 차이 비교까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