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지식

PER 높은주식 순위 보는 법

경제 매뉴얼365 2025. 8. 12. 15:07

페이지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주세요...

0%

투자의 세계에 첫발을 내디딘 분들이라면, 수많은 경제 용어들 앞에서 잠시 주춤했던 경험이 있으실 것입니다. 특히 PER 높은주식이라는 키워드는 많은 분들의 호기심을 자극합니다. 높은 PER이 과연 기업의 가치를 의미하는 것인지, 아니면 거품의 신호인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이 글에서는 PER의 기본적인 개념부터 실제 사례, 그리고 투자에 있어 우리가 어떤 시각을 가져야 하는지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 합니다. 어려운 용어 대신, 마치 옆에서 친한 선배가 설명해주듯이 편안하게 풀어보겠습니다.

PER 높은주식 보는 법 대표 이미지

PER 개념 쉽게 이해하기

우리가 흔히 '주가가 비싸다'고 이야기할 때, 그 기준은 무엇일까요. 단순히 주가 10만 원이 1만 원보다 비싸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 기업이 벌어들이는 이익에 비해 주가가 어느 정도 수준인지를 따져봐야 합니다. PER, 즉 주가수익비율은 바로 그 기준이 되어 줍니다.

PER은 간단히 말해 '주식 한 주가 벌어들이는 이익에 비해, 시장에서 얼마나 높은 가격으로 거래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 PER이 10이라고 가정하면, 그 기업이 현재와 같은 이익을 10년간 꾸준히 벌어들여야만 지금의 주가를 회수할 수 있다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 PER이 낮으면 현재 이익에 비해 주가가 저렴하다는 것이고, PER이 높으면 미래 성장에 대한 기대감으로 인해 주가가 높게 형성되어 있다는 뜻으로 볼 수 있습니다.

물론, PER은 하나의 지표일 뿐이므로 이 수치만으로 모든 것을 판단하는 것은 위험한 생각입니다.

 

관련 글:

PER 이란? 뜻과 해석 방법 예시로 쉽게 이해하기

 

코스피에서 PER 높은 주식 예시

높은 PER은 주로 성장 가능성이 큰 기업에서 자주 나타납니다. 현재 이익은 크지 않지만, 앞으로 폭발적으로 성장하여 더 많은 돈을 벌어들일 것이라는 기대감이 주가에 선반영되기 때문입니다. 아래 표는 한국 증시에서 일반적으로 PER이 높게 나타나는 종목들입니다.

주의: 아래 정보는 투자 권유가 아니며, 단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투자 결정은 반드시 개인의 판단과 책임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종목명 PER 비고
삼성바이오로직스 약 62배 바이오/제약 업종의 성장성 기대
셀트리온 약 101배 바이오시밀러 및 신약 개발 기대
하이브 약 1258배 인터넷 플랫폼 사업(위버스)의 미래 성장성
카카오 약 501배 모바일 플랫폼 및 신규 사업 성장 기대

위 표에서 볼 수 있듯이, 바이오나 IT 산업에 속한 기업들은 대체로 높은 PER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이는 현재보다 미래의 가치를 더 높게 평가받고 있기 때문입니다.

삼성바이오로짃, 셀트리온 PER
PER 예시(이미지 출처: 다음 금융 2025년 8월 12일 2시 48분 기준)

PER 높은주식 보는 법(순위 내림 차순)

지금부터 PER 높은 주식 확인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다음 금융이나 네이버 증권에서 종목별로는 쉽게 확인이 가능하지만, 모든 종목 중 PER이 높은 순서로 보는 방법입니다.

우선 KRX 정보 데이터 시스템 페이지에 접속합니다.(바로가기 링크)

정보데이터시스템 접속

중앙 상단의 통계 -> 기본 통계에 접근합니다.

기본통계 접근

왼쪽 탭에서 주식 -> 세부안내 -> PER/PBR/배당수익률(개별종목)에 접근합니다.

세부안내 선택

전 종목, 원하는 시장 선택, 조회 일자를 선택하고 조회를 누릅니다.

시장 선택
저는 KOSPI만 보고 싶어 KOSPI를 선택했습니다.

 PER 탭의 아랫쪽 화살표를 누르시면 내림차순으로 정렬됩니다.

PER 높은주식 정렬

이제 원하는 날짜 기준 PER 높은주식을 순서대로 보실 수 있습니다.

마치면서

오늘 우리는 PER 높은주식에 대한 궁금증을 조금이나마 풀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PER은 기업의 현재 가치와 미래 성장성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이지만, 그것이 전부가 될 수는 없습니다. 투자는 결국 나만의 철학과 기준을 가지고 신중하게 접근해야 하는 영역입니다. 무조건 높은 PER이 좋다고 생각하는 것도, 무조건 낮은 PER이 좋다고 생각하는 것도 올바른 방법은 아닐 것입니다. 다양한 지표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며, 자신만의 투자 기준을 세우는 노력이 중요합니다.


PER이 높으면 무조건 거품인가요?

아닙니다. PER은 기업의 미래 성장성에 대한 기대감을 반영하기 때문에, 높은 PER이 반드시 거품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기대만큼의 성장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주가 하락의 위험이 있다는 점을 항상 염두에 두셔야 합니다.

 

PER은 어떻게 계산하나요?

PER은 '주가 ÷ 주당순이익(EPS)'으로 계산됩니다. 주당순이익은 기업의 총 순이익을 발행주식총수로 나눈 값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