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지식

기납부세액 이란 무엇일까? 구체적인 사례 예시와 확인 방법

경제 매뉴얼365 2025. 2. 6. 17:20
반응형

많은 직장인들이 연말정산 시즌이 되면 ‘기납부세액’이라는 용어를 접하게 됩니다. 그러나 그 정확한 의미를 이해하지 못한 채 단순히 세금 관련 용어로만 인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기납부세액은 연말정산에서 결정세액과 비교하여 추가 납부 여부나 환급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기납부세액 이란 무엇인지, 구체적인 예시와 확인 방법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기납부세액 이란

기납부세액 이란?

기납부세액(旣納付稅額)은 말 그대로 ‘이미 납부한 세금’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좀 더 쉽게 풀어보면, 근로자가 매월 급여를 받을 때 원천징수되는 소득세를 의미합니다. 연말정산 과정에서는 1년 동안의 총 소득과 세액을 계산한 뒤, 이미 납부한 기납부세액과 비교하여 차액을 정산하게 됩니다.

한자어를 하나씩 풀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기(旣): ‘이미 기’ 자로, 어떤 일이 이미 이루어졌음을 뜻합니다.
  • 납(納): ‘바칠 납’ 자로, 세금이나 공물을 바친다는 의미를 가집니다.
  • 부(付): ‘줄 부’ 자로, 무엇인가를 지급하거나 전달한다는 뜻입니다.
  • 세(稅): ‘세금 세’ 자로, 국가에 내는 조세를 의미합니다.
  • 액(額): ‘이마 액’ 자에서 유래한 말로, 특정한 금액이나 수치를 뜻합니다.

즉, 기납부세액이란 매월 급여에서 원천징수되어 미리 납부한 소득세를 의미하며, 연말정산 시 결정세액과 비교하여 최종적으로 환급 또는 추가 납부 여부가 결정됩니다.

세무세금계산계약서 작성

기납부세액 예시

기납부세액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해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예를 들어, 한 근로자의 월급이 400만 원이라고 가정하겠습니다. 매월 소득세 10만 원과 지방소득세 1만 원이 원천징수된다고 하면, 1년 동안 기납부한 세금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소득세: 10만 원 × 12개월 = 120만 원
  • 지방소득세: 1만 원 × 12개월 = 12만 원
  • 기납부세액 합계: 132만 원

연말정산에서 이 근로자의 1년 총 소득과 공제 항목을 반영하여 결정세액이 110만 원이라고 계산되었다면, 이미 납부한 132만 원에서 110만 원을 뺀 22만 원을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결정세액이 140만 원이라면, 132만 원을 기납부한 상태에서 8만 원을 추가로 납부해야 합니다.

세금환급원화세금계산애니메이션

기납부세액 확인 방법

연말정산을 앞두고 자신의 기납부세액을 미리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급여 명세서 확인
    • 대부분의 회사에서는 월급 지급 시 급여 명세서를 제공하며, 여기에서 소득세와 지방소득세 항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매월 원천징수된 금액을 합산하면 연간 기납부세액을 대략적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2. 국세청 홈택스 이용
    • 국세청 홈택스에 로그인하면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를 통해 자신의 기납부세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연말정산 신고 화면에서 ‘기납부세액’을 확인하면, 연말정산 결과를 예상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3. 회사 회계팀에 문의
    • 정확한 기납부세액 확인이 어렵다면 회사의 회계팀 또는 인사팀에 문의하여 본인의 원천징수 내역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결론

기납부세액 이란 근로자가 급여에서 원천징수된 소득세를 의미하며, 연말정산 시 결정세액과 비교하여 환급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를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급여 명세서 확인, 국세청 홈택스 조회, 회사 회계팀 문의 등이 있으며, 미리 확인해두면 연말정산 시 예상치 못한 추가 납부를 피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기납부세액을 정확히 파악하여 연말정산을 효과적으로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함께하면 좋은 글

 

매출액 이란? 기업실적분석 바로 읽기

기업의 실적을 분석할 때 가장 먼저 살펴보는 지표 중 하나가 바로 매출액입니다. 매출액 이란 기업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여 벌어들인 총수익을 의미하며, 기업의 성장성과 시장 경쟁력

economy.manual365.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