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주세요...
주식 투자를 하다 보면 매도 후 바로 돈을 찾을 수 없어 답답했던 경험, 한 번쯤 있으실 겁니다. 분명히 주식을 팔았는데 왜 통장에 바로 입금되지 않는 걸까요? 바로 결제 시스템 때문인데요. 주식 매도금 입금일은 매도한 날로부터 영업일 기준 2일 뒤입니다. 이를 'D+2'일 결제라고 부릅니다. 이 시스템의 핵심인 예수금 개념부터 차근차근 알아보겠습니다.
예수금, 입금된 돈이 아니다?
예수금은 '예탁금'의 줄임말로, 고객이 주식 투자를 위해 증권 계좌에 넣어둔 돈을 의미합니다. 매도 후 증권 앱에 '예수금'이 늘어난 것을 보고 돈이 입금되었다고 착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이 예수금은 사실 아직 정식으로 입금된 돈이 아닙니다.
증권사는 매도 체결과 동시에 예수금을 늘려주지만, 이는 고객이 그 돈으로 다시 주식을 살 수 있도록 임시로 처리해 주는 것에 불과합니다. 실제 현금화되어 인출이나 이체가 가능한 시점은 'D+2'일 이후가 됩니다. 즉, 예수금은 매도 대금을 담보로 한 일종의 '가상의 돈'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주식 매도금 입금일 예시로 쉽게 이해하기
'D+2'일 결제는 주식시장이 열리는 영업일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주말과 공휴일은 제외되므로 이 점을 꼭 기억해야 합니다. 아래 예시를 통해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 월요일 매도 시:
- 매도일(D-Day): 월요일
- D+1일: 화요일
- 입금일(D+2일): 수요일
- 월요일에 주식을 팔면, 매도금은 수요일에 내 계좌로 입금됩니다.
- 월요일 매도, 화요일이 공휴일일 경우:
- 매도일(D-Day): 월요일
- D+1일: (화요일은 공휴일이므로 제외) 수요일
- 입금일(D+2일): 목요일
- 결제일 계산 시 공휴일은 제외되므로, 입금은 목요일에 이루어집니다.
- 금요일 매도 시:
- 매도일(D-Day): 금요일
- D+1일: (주말인 토, 일요일 제외) 월요일
- 입금일(D+2일): 화요일
- 주말은 영업일이 아니므로, 금요일에 판 주식 대금은 화요일에 입금됩니다.
결론: 현명한 자금 계획의 시작
주식 매도금 입금일은 D+2일 결제 시스템 때문에 매도일로부터 영업일 기준 2일 뒤라는 것을 알게 되셨을 겁니다. 이 시스템을 이해하면 현금을 인출하거나 다른 곳으로 이체할 때 자금 계획을 세우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특히 금요일이나 공휴일 직전에 주식을 팔았다면, 돈이 필요한 시점보다 며칠 더 늦게 입금될 수 있다는 점을 항상 염두에 두십시길 바랍니다.
Q. 주식 매도 후 바로 다시 주식을 살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Q. 주식 매도금 입금일이 빨라질 수는 없나요?
함께하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