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지식

배달앱 수수료 상한제 핵심 내용 간단 정리, 지금 어디까지 왔을까요?

경제 매뉴얼365 2025. 7. 2. 22:22
반응형

요즘 자영업자 커뮤니티나 뉴스 댓글창에서 ‘배달앱 수수료 상한제’라는 말 자주 보셨을 겁니다. 저도 처음에는 단순히 수수료를 줄인다는 의미로만 알고 있었는데, 좀 더 찾아보니 생각보다 깊고 복잡한 문제라는 걸 알게 되었어요.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배달앱 수수료 상한제란 무엇이고, 현재 어떤 상황까지 왔는지 간단하게 정리해보았습니다.

배달앱 수수료 상한제 대표 이미지

 

배달앱 수수료 상한제란?

배달앱 수수료 상한제는 음식점 사장님들이 배달앱을 이용하면서 부담하는 수수료의 최대 한도를 법이나 제도로 정해 제한하자는 내용입니다. 여기에는 중개 수수료, 결제 수수료, 배달비까지 포함됩니다. 쉽게 말해 “앱 업체가 받을 수 있는 수수료의 최대치”를 정하겠다는 것이죠.

자영업자 단체는 전체 수수료를 최대 15%, 소액 주문(예: 15,000원 이하)에는 최대 25%로 제한해달라고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 수치는 실제로 일부 미국 도시에서 도입했던 수준과 유사하다고 해요.

왜 이런 논의가 생겼을까?

코로나19 이후 배달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많은 음식점들이 배달앱 수수료 부담을 크게 느끼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중개 수수료, 광고비, 배달대행료 등이 합쳐지면서 최종적으로 20~30% 가까운 수수료를 지불하는 경우도 생겼다고 하더군요.

이에 따라 이재명 대통령이 대선 공약으로 수수료 상한제를 내세웠고, 현재는 공정거래법 개정 논의를 포함한 제도화가 추진 중입니다.

지금까지의 진행 상황은?

  • 사회적 대화 기구 운영 중
    정부와 정치권은 일단 업계(배민·쿠팡이츠 등)와 소상공인 단체가 자율적으로 합의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고 있습니다.
    기한은 2025년 7월 말까지이며, 이때까지 합의가 안 되면 입법으로 넘어갈 가능성이 큽니다.
  • 플랫폼 측 입장
    시장 자율을 강조하며, 상한제보다는 자율 가이드라인 도입을 선호합니다.
    특히 고정비와 배달기사 수요 불균형 등을 이유로 일률적인 수수료 상한에는 부정적인 입장입니다.
  • 자영업자 측 입장
    실질적으로 20%를 넘는 수수료 구조에 부담을 토로하며,
    법적 기준 없이 앱 업체에 맡기면 수수료가 줄어들 가능성이 낮다는 판단입니다.

찬반 논쟁, 어떻게 봐야 할까?

찬성 쪽은 자영업자의 생존권 보호를 위해 일정한 기준은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반대 쪽은 배달 시장의 유연성과 혁신을 해칠 수 있고,
결국 소비자 가격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합니다.

또한 해외 사례처럼 상한제를 도입했다가 오히려 서비스 질 저하나 수수료 이외 비용 증가로 이어진 경우도 있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옵니다.

 

마무리하며

배달앱 수수료 상한제는 단순히 비용 문제를 넘어 플랫폼 시장의 구조와 자영업자의 생존이 충돌하는 이슈입니다.
현재는 자율협의 단계이지만, 합의 실패 시 법제화 가능성이 커지는 만큼,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정리될지 주의 깊게 지켜볼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함께하면 좋은 글

상법개정안이란? 주요 내용 요약 및 언제 통과 예정인지 정리

반응형